[스크랩] 네가 있어서 정말로 기쁘다 네가 있어서 정말로 기쁘다 사랑받고 있다고 확신하게 하라. 딸에게는 어떤 말로 애정을 전해야 좋을까? '네가 있어서 정말로 기쁘다'는 말이 제일 좋다. '결과'나 '열심히 한 일' 이전에 '존재 자체'를 인정하는 것이다. 사실이 그렇지 않은가? 부모라면 아이가 있는 것만으로 행복하지 않을까? 그런 부.. 생각/행복한 삶을 위한 덕목 2010.07.07
[스크랩] 번거롭지만 결혼은 하는 게 나아 오늘이 찰스 다윈의 탄생 200주년이 되는 날이라고 하네요. 그의 일기장에서 숨겨진 뒷얘기가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그는 결혼의 장.단점을 이렇게 꼼꼼히 적어 두었다고 합니다. "결혼의 장점은 아내가 평생의 동반자가 되어주고 늙어서는 친구가 돼 준다는 것이다. 결혼을 하면 집안에 음악과.. 생각/행복한 삶을 위한 덕목 2010.07.07
[스크랩] 남편을 감동시키는 말(34가지) 남편을 감동시키는 말(34가지) 1. 여보 사랑해요 2. 여보, 아이가 당신 닮아서 저렇게 똑똑하나봐요. 3. 내가 시집 하나는 잘 왔지. 4. 내가 복받은 여자지. 5. 당신이라면 할 수 있어요. 6. 여보, 내가 당신 얼마나 존경하는지 모르지요? 7. 역시 당신밖에 없어요. 8. 내가 시어머니 복은 있나봐요. 9. 여보, 작.. 생각/행복한 삶을 위한 덕목 2010.07.07
[스크랩] 참 아름다운 부부는 ♡ 참 아름다운 부부는 ♡ 1. 나 때문에 더 행복하기를 바라며 기회마다 배려와 칭찬을 하며 “사랑해” 라는 말을 많이 하며 고운 말을 씁니다. 2. 가려고 하는 장소나 하려는 일이 부부사이 가라지나 문제의 불씨가 아닌지 한 번 더 생각하며 서로 아플 일은 하지 않으며 생각지도 않습니다. 3. 나의 실.. 생각/행복한 삶을 위한 덕목 2010.07.07
[스크랩] 가깝다는 이유로 가깝다는 이유로 우리는 대부분 가족들 앞에서 너무 쉽게 화를 낸다. 남들 앞에서는 침 한번 꿀꺽 삼키고 참을 수도 있는 문제를 가족이라는 이유로 못 참아 하는 일이 얼마나 많은가 서로 허물없다는 이유 때문에 부담을 갖지 않아도 되는 편한 관계라는 핑계로 발가벗은 감정을 폭발시키는 경우가 .. 생각/행복한 삶을 위한 덕목 2010.07.07
[스크랩] 격려의 언어로 말하라 ☆ 격려의 언어로 말하라 ☆ 우리는 말을 먹고 자란다. 어떤 말을 듣고 자랐는지에 따라 그 결실이 달라진다. 미국 어느 교도소의 재소자 90%가 성장하는 동안 부모로부터 "너 같은 녀석은 결국 교도소에 갈거야" 하는 소리를 들었다고 한다. 괴테는 이렇게 말했다. "인간은 보이는 대로 대접하면 결국 .. 생각/행복한 삶을 위한 덕목 2010.07.07
[스크랩] 부모 효도 방법 10가지 부모 효도 방법 10가지 1. 부모님과 가능한 많은 대화를 나누라. 부모는 자식과 대화의 시간을 가장 즐거워하신다. 2. 부모님께 일감을 드리라. 효도란 부모님을 방구석에 가만히 모셔만 놓는 것이 아니다. 3. 부모님도 취미를 가지시도록 도와 드리라. 사회에서나 교회에서 친구들과 어울려 즐길수 있도.. 생각/행복한 삶을 위한 덕목 2010.07.07
[스크랩] 아이에게 『정직함을 가르치는』 14가지 말 아이에게 『정직함을 가르치는』 14가지 말 01. 네 눈으로 직접 확인해 보렴. 02. 같은 입장이었다면 기분이 어땠겠니? 03.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단다. 04. 속여서 이기는 것보다 지는 게 낫단다. 05. 규칙은 반드시 지켜야 해. 06. 남의 외모에 대해 함부로 말하면 안 된단다. 07. 잘못을 했으면 바로 사과하자.. 생각/행복한 삶을 위한 덕목 2010.07.07
[스크랩] 이런 남편과 아내사이 1.함께 기도로 하루를 열고 기도로 하루를 마무리한다. 2.아침에 일어나면 가벼운 포옹이나 미소로 반긴다. 3.매일 칭찬과 격려의 보약을 지어주고 있다. 4.관심과 감사의 마음을 보여준다. 5.배우자를 인정하고 자랑스럽게 여긴다. 6.기념일과 생일은 꼭 기억하고 챙긴다. 7.대화를 위한 시간을 할.. 생각/행복한 삶을 위한 덕목 2010.07.07
[스크랩] 남을 생각하는 법을 가르친다 ▒ 남을 생각하는 법을 가르친다 : 배려 교육 ▒ 유다인의 어머니는 성품 교육을 태아와 유아기 때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자녀가 성숙하면서 이를 실천하도록 가르친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달리기를 하여 1등 한 아들이 집에 들어오자마자 "엄마! 나 달리기에서 1등 했어. 다른 애들은 아무도 날 따라.. 생각/행복한 삶을 위한 덕목 2010.07.07